공공안전분야 논문/공공안전분야 논문리뷰

[논문리뷰-1] 시위와 재산범죄: 경찰자원의 정치적 활용과 범죄 억제 Protest and property crime:political use of police resources and the deterrence of crime <대통령 임기 별 그래프 첨부>

All-gonggong 2024. 12. 28. 07:00
728x90
반응형
SMALL

 

 

Byeon, J., Kim, I., & Lee, D. (2018). Protest and property crime: political use of police resources and the deterrence of crime. Public Choice, 175, 181-196.

 

주요 인과관계 검증 : 경찰자원의 정치적 활용 -> 범죄촉진

WP_2017-06.pdf
0.70MB

초록(Abstract)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laim that the political use of police resources promotes crime. Using a panel of South Korean metropolitan regions, we show that (1) the reallocation of police resources toward the control of political protests reduces arrest rates for crime and (2) this trade-off effect becomes insignificant at the end of the government, potentially because police bureaucrats strategically defect against the outgoing government. The resulting change in deterrence critically influences the incidence of crime. Overall, the impact of the reallocation of police on crimes mainly works through its trade-off effect on the arrest rate. Our findings imply that it is not the size of the police per se, but the allocation of police resources toward crime control that deters crime. The use of police resources for protest control is explained by bureaucratic self-interest, rather than by public interest.

 

번역: 

 

 

 

이 논문은 경찰 자원의 정치적 활용이 범죄를 촉진한다는 주장에 대해 탐구합니다.

한국의 주요 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한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1) 정치적 시위 통제를 위해 경찰 자원이 재배치될 경우 범죄 검거율이 감소
(2) 이러한 자원 배분의 상충 효과는 정부 임기 말에 무의미해지는 경향이 있음

 

이는 경찰 관료들이 퇴임을 앞둔 정부에 전략적으로 이탈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억제 효과가 변하며, 범죄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전체적으로 경찰 자원의 재배치가 범죄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검거율에 대한 상충 효과를 통해 작용합니다.

 

시사점

 

 

 

범죄 억제에 중요한 것은 경찰의 절대적 규모가 아니라,

범죄 통제를 위해 경찰 자원이 어떻게 배분되는가에 달려 있음을 시사합니다.

경찰 자원이 시위 통제에 사용되는 이유는 공익이 아니라 관료적 자기 이익으로 설명됩니다.

 


1. 서론
배경: 경찰 자원의 배분은 범죄 예방 및 단속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정치적 시위나 사건의 관리에 경찰이 자원을 집중할 경우, 범죄 단속에 필요한 자원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목적: 본 연구는 이러한 경찰 자원 배분의 변화가 범죄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관료적 인센티브와 경찰 자원 배분[이론적배경]
관료적 인센티브: 정부와 경찰 간의 구조적 관계가 경찰이 어떻게 자원을 배분하는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기존 연구(Niskanen, 1971)에 따르면, 관료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원을 관리합니다.

기대 효과(가설)
경찰이 정치적 사건에 대한 자원을 증가시키면 범죄 단속에 사용해야 할 자원이 줄어들어 범죄율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3. 데이터 및 변수

 

 

 


사용된 데이터: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범죄 통계 및 경찰 배치 데이터, 인구 통계 변수 등을 사용했습니다. 데이터는 한국 통계청 및 경찰청의 연차 보고서를 통해 수집되었습니다.
변수 정의:
범죄율: 인구 10만 명당 신고된 범죄 수.
경찰 배치 변수: 시위 관리에 투입된 경찰의 평균 수.
사회경제적 변수: 남성 인구 비율, 청년 실업률, 지역의 가구 수 등


4. 실증 모델 및 결과
모델 설명: 경찰의 자원 재배분이 범죄 단속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의 실증 모델을 제안하였습니다: 
결과 해석: 경찰 자원의 정치적 사건 관리에 대한 배분이 범죄 단속 확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결과는 경찰의 자원 분배가 범죄 예방의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5. 결론
결론 요약: 경찰 자원의 정치적 이용은 범죄에 대한 단속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정책 결정자들이 자원을 배분할 때 범죄 예방과 공공 안전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미래 연구 제안: 향후 연구에서는 추가적인 변수와 다른 지역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보다 포괄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데이터에 대한 자세한 번역본>

 

 

 

 

범죄와 시위 간 경찰 자원 배분의 상충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경찰 생산 함수와 범죄 공급 함수를 추정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한국의 13개 광역지역에서 16년간(2000–2015) 수집된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습니다. 이 광역지역은 주요 도시와 9개의 도를 포함하며, 국가의 정치, 문화, 상업 중심지를 아우릅니다.

 

2000–2015년 기간은 각각 5년의 임기를 가진 김대중(1998–2002), 노무현(2003–2007), 이명박(2008–2012), 박근혜(2013–2017) 대통령이 이끈 네 정부와 겹칩니다.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 시기 시위와 경찰기동대인력

 

우리는 임기 첫 2년 동안은 EARLY 변수에 1을 할당하고, 그 외의 기간에는 0을 할당하는 더미 변수를 사용하였습니다. 이는 정부가 3년 차부터 점진적으로 권력을 잃기 시작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합니다. 대안적으로, 임기 첫 3년을 EARLY1 변수로 표시하는 더미 변수를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경찰 생산 함수에서 주요 종속 변수는 절도 검거 확률(검거 건수를 신고된 절도 건수로 나눈 값)입니다. 검거 확률은 범죄 억제에서 경찰의 생산성을 나타내며, 이는 범죄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Benson, 2010). 한국의 절도 범죄는 대략 Index I 범죄(즉, 주거침입, 절도, 차량 절도)의 재산 범죄 요소에 해당합니다. 본 연구는 재산 범죄가 경찰 자원의 상충 효과(예: 시위 통제를 위한 경찰 재배치가 순찰 감소를 초래함)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고, 다른 재산 범죄에 대한 일관된 시계열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절도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또한, 대안적 종속 변수로 재산 범죄와 폭력 범죄를 결합한 일반 범죄를 포함하였습니다.

 

범죄 통제에서 정치적 활동(비범죄 활동)으로 경찰 자원의 재배치를 포착하기 위해 두 가지 대리 변수를 사용했습니다. 이는 시위 통제 한 건당 배치된 평균 경찰관 수(POLIT1)시위 통제 및 경비/보안 업무 한 건당 배치된 평균 경찰관 수(POLIT2)입니다. 이들 경찰은 지역 경찰청 내 공공안전부서 소속입니다. 연구 목적상, POLIT 값이 높을수록 경찰력이 범죄 통제에서 시위 통제로 이동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1) 경찰 기관이 종종 시위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다른 부서(예: 공공안전 및 범죄수사)에서 임시로 인력을 배치하고, (2) 공공안전 경찰을 다른 기능에 배치할 수 있는 여력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2010년에서 2014년 사이 약 2만 명의 범죄수사 경찰(범죄수사부서의 약 24%)이 야간 시위 통제를 위해 배치되었습니다(국회, 2014).

 

통제 변수에는 경찰, 비절도 범죄, 시위(또는 시위와 경비/보안 업무), 인구, 그리고 1인 가구 비율이 포함됩니다. 10만 명당 경찰관 수(POLICE)는 경찰 규모가 검거 확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포함되었습니다. 높은 수준의 비절도 범죄(CRNON-THEFT)는 경찰 자원에 대한 경쟁적 수요로 인해 절도 범죄 해결 가능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우리는 10만 명당 신고된 일반 범죄(절도 제외) 건수를 사용했습니다. 시위 건수(PROTEST1) 또는 시위와 경비/보안 업무 건수(PROTEST2)를 통제 변수로 포함한 이유는 이 변수들이 경찰 자원의 배분(POLIT1 및 POLIT2)에 영향을 미치고 종속 변수(절도 검거 확률)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구가 많은 지역(POP)에서는 지역 사회 유대가 약해 범죄자가 두드러지게 드러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Benson and Rasmussen, 1991; Sollars et al., 1994). 1인 가구 비율(Single)은 경찰이 1인 가구가 많은 지역에 더 많은 자원(예: 순찰)을 할당하는 경향이 있어 포함되었습니다. 모든 변수는 1인 가구 비율과 정부 초기 기간을 나타내는 더미 변수를 제외하고 자연 로그로 변환되었습니다.

 

범죄 공급 함수에서는 종속 변수가 10만 명당 신고된 범죄 건수로 정의된 범죄율입니다. 우리는 절도와 일반 범죄 모두를 분석했습니다. 설명 변수로는 두 가지 억제 변수인 검거 확률(PA)과 기소 확률(PP)을 포함했습니다. 이 두 변수는 범죄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시위 건수(또는 시위와 경비/보안 업무 건수)와 정치적 시위로의 경찰 자원 배분 대리 변수(POLIT1 또는 POLIT2)를 포함했습니다. POLIT 변수는 검거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범죄율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시위가 범죄 발생을 증가시킨다면 범죄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사회경제적 통제 변수로는 3044세 남성 인구(Male30-44)를 포함했습니다. 이 연령대는 범죄에 취약한 그룹으로 한국 범죄 보고서(2015)에 따르면 범죄 참여를 주도합니다. Buonanno와 Montolio(2008), Fougère et al.(2009)를 따라 1529세 청년 실업률(Unemp_Young)을 포함했으며, Ochsen(2010), Saridakis와 Spengler(2012)를 기반으로 여성 실업률(Unemp_Female)도 포함했습니다. 여성 실업률은 범죄 표적 가능성을 낮추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노동 시장 결과를 나타내는 또 다른 변수로는 건설업 월평균 임금(Wage)을 사용했습니다. GRDP 성장률도 통제하였는데, 이는 범죄율이 경기 침체기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Laspa, 2015). 45~69세 여성 가장의 1,000가구당 수(Female_HH)는 가족 환경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범죄율 증가와 연관됩니다(Levitt, 1998). 마지막으로 1인당 주류 소비(Alcohol)는 범죄 발생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요소로 포함되었습니다(Cook and Moore, 1993; Raphael and Winter-Ebmer, 2001; Kim et al., 2017). Table 1은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변수의 정의와 기술통계를 제공합니다.

 

 

 

 

 

변인 설명 평균 (S.D.)
CRC 10만 명당 신고된 전통 범죄 수 1,828.2 (332.7)
PAC 전통 범죄에 대한 체포 확률 0.76 (0.073)
PPC 전통 범죄에 대한 기소 확률 0.341 (0.043)
CRTHEFT 10만 명당 신고된 절도 범죄 수 466.3 (144.8)
PATHEFT 절도 범죄에 대한 체포 확률 0.146 (0.319)
PPTHEFT 절도 범죄에 대한 기소 확률 0.146 (0.037)
CRNON-THEFT 10만 명당 신고된 비절도 범죄 수 1,361.9 (250.8)
POP 인구 3,814,943 (3,180,114)
Single 1인 가구 비율 (%) 22.3 (4.4)
Male30-44 30-44세 남성 인구 비율 (%) 11.6 (2.1)
Unemp_Young 15-29세 청년 실업률 (%) 7.6 (1.7)
Unemp_Female 여성 실업률 (%) 6.4 (1.6)
Wage 건설 산업의 월급 (2010년 기준, 원) 2,358.7 (1,028.6)
GRDP growth GRDP 성장률 (%) 3.9 (2.7)
Female_HH 45-69세 여성 가구주 수 (천 가구당) 10.9 (11.1)
Alcohol 1인당 주류 및 담배 지출 (2010년 기준, 원) 261.3 (26.3)
POLICE 10만 명당 경찰관 수 201.8 (34.0)
PROTEST1 경찰 자원을 동원한 시위 수 850.0 (1,447.3)
PROTEST2 경찰 자원을 동원한 시위 및 경비 서비스 수 1,049.6 (631.8)
POLIT1 시위 통제를 위한 배치된 경찰관 평균 수 218.2 (169.9)
POLIT2 시위 또는 경비 통제를 위한 배치된 경찰관 평균 수 206.7 (160.4)
EARLY 정부 임기 첫 2년 동안 = 1 0.4 (0.5)

 

본 포스팅은 "Byeon, J., Kim, I., & Lee, D. (2018). Protest and property crime: political use of police resources and the deterrence of crime. Public Choice175, 181-196." 논문을 번역 및 재정리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